DECT·DLCT 기반 최신 임상 전략 공유

GE헬스케어에이에스(GE헬스케어 진단의약품사업부) 한국지점은 지난 17일 영상의학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조영제·영상진단 심포지엄 ‘STANDARD 2025’을 개최했다.

<br>

조영제·영상진단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자 처음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은 ‘From Trust to Standard: Redefining Diagnostics(신뢰에서 기준으로: 진단의 새로운 기준)’를 주제로, 조영제의 최신 임상 전략과 진단 기준(Standard of Care)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주요 연자로는 △고대구로병원 서상일 교수 △서울성모병원 김보현 교수 △ 단국대학교병원 김상윤 교수 등이 참여했다. 행사는 Dual-Energy CT(DECT) 기반의 출혈·조영제 누출 감별 전략과 Double Low-Dose CT(DLCT) 프로토콜을 통한 방사선·조영제 최소화 등 환자 안전을 강화하는 임상적 접근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먼저, 고대구로병원 서상일 교수가 ‘미파열 뇌동맥류 코일 색전술 후 DECT에서 관찰되는 뇌 조영제 착색’을 주제로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코일 색전술 직후 CT에서 관찰되는 고음영 소견이 출혈인지 조영제 누출(CCS)인지 감별하는 임상적 과제로 구성됐다. DECT를 활용해 시술 직후부터 출혈과 CCS를 신속히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불필요한 추적 촬영과 입원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를 조명했다.

이어 서울성모병원 김보현 교수는 ‘급성 충수염 진단을 위한 이중 저선량 복부·골반 CT’를 다뤘다. 급성 충수염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DLCT 프로토콜의 유효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 DLCT는 기존 단일 저선량(SLCT) 대비 방사선량과 조영제 사용량을 동시에 줄이면서도 영상 품질과 진단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국대학교병원 김상윤 교수는 ‘비이온성 저삼투성 조영제의 급성 이상반응: 메타분석을 통한 최신 근거’를 주제로, 비이온성 저삼투성 조영제(LOCM) 간 급성 이상 반응의 최신 근거를 소개했다. 

대한신경중재치료의학회 서상일 회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조영제 관련 최신 근거와 임상 경험을 공유하고, 환자 안전 중심의 진단 기준을 논의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의료진의 실제 진료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GE헬스케어에이에스 한국지점 김경수 대표는 “조영제의 핵심 가치는 언제나 환자 안전과 신뢰성”이라며,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의료진이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STANDARD 2025’ 진행 모습<br>
▲조영제·영상진단 심포지엄 ‘STANDARD 2025’ 진행 모습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