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가지 사례로 본 의료 AI 적용 성과와 정책·제도적 과제 제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바이오헬스정책연구센터는 ‘의료 AI의 병원 적용사례와 과제’ 보고서를 지난 24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주요 선도병원을 중심으로 의료 특화 인공지능(AI)이 의료현장에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고, 현장에서 체감하는 AI 적용의 과제를 제시했다.
‘의료 AI의 병원 적용사례’는 △스마트병원의 DX(Digital Transformation) to AX(AI Transformation): 병실에서 시작되는 변화(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차원철 교수) △서울아산병원 AI진료 음성인식시스템(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김지완 교수) △양악수술 후 모습 예측을 위한 수술 디지털 트윈(울산의대/서울아산병원 융합 영상의학과 김남국 교수) △AI 시대의 생체신호 모니터링(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이형철 교수) △생성형 AI를 활용한 의무기록 초안 작성 서비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유승찬 교수) △소아응급실 커뮤니케이션 AI-Agent: 공감과 효율을 위한 기술의 여정(삼성서울병원 응급의학과 손명희 교수, 허세진 임상조교수) △디지털 병리와 인공지능(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정찬권 교수, 가톨릭대학교 의료정보학교실 최인영 교수) 등 총 7가지로 구성됐다.
각 사례별로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료 AI의 병원 내 적용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지원사항은 별도로 의료 AI 과제로 제시했다.
보산진 강대욱 바이오헬스정책연구센터장은 “다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AI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도구”라며, “맞춤형 정책적·제도적 지원으로 바이오헬스의 새시대를 선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보산진 홈페이지 내 ‘동향과정보 > 바이오헬스정책연구’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