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수의 Health Policy Insight
[Health Policy Insight 511호]
메드트로닉코리아 부사장
원격 모니터링(remote monitoring)은 의사가 보다 시의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자신의 케어 관리에 더 직접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함으로써 케어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지난 5년간 메디케어(Medicare)는 원격 모니터링을 장려하는 데 있어 전국적인 선도적 역할을 해왔으며, 2가지 유형의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해 의사에게 보험급여를 제공하고 있다. 첫 번째는 원격 환자 모니터링(Remote Patient Monitoring, RPM)으로, 고혈압, 당뇨병, 심부전과 같은 질환 관리에 필수적인 생리학적 데이터(예를 들어, 혈압, 혈당 수치, 체중, 산소포화도, 심장 리듬) 수집을 포함한다. 두 번째는 원격 치료 모니터링(Remote Therapeutic Monitoring, RTM)으로, 관절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과 같은 질환 치료와 관련된 비생리학적 데이터(예를 들어, 통증 정도, 환자 증상, 치료 순응도·반응) 수집을 포함한다. 실제로, 제한된 환경에서 수행된 초기 연구들은 원격 모니터링(RPM과 RTM)이 재입원 감소, 약물 복약 순응도 향상, 환자-의사 간 더 긴밀한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여러 연구는 2020년과 2021년 COVID-19 기간 동안 RPM 사용이 크게 증가했음을 보여줬다.
원격 모니터링이 잠재적인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도입 수준을 넘어 미국 전역에서 보다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채택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러나 팬데믹 이전부터 이후까지 장기적인 원격 모니터링 사용 추세, 특히 치료 모니터링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하다. 더 나아가, 다양한 급성기 이후(post-acute) 및 외래 환경에서 원격 모니터링이 전국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2023년에 RPM과 RTM 서비스의 활용 현황에 대한 전국적 분석을 수행해 원격 모니터링에 대한 지식 격차를 해소하고자 했다.
미국 전역에서 RPM과 RTM의 이용은 메디케어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에게 보험급여를 시작한 이후 각각 3,334%와 373% 이상 급격히 증가했다. 이와 유사하게, RPM과 RTM에 대한 지불보상도 크게 증가했으며, RPM은 2,887% 이상 증가해 2023년 기준 2억 5천만 달러를 넘어섰고, RTM은 399% 이상 증가해 2023년 기준 1천 3백만 달러를 넘어섰다. RPM은 주로 의원급 1차 케어 의사에 의해 제공된 반면, RTM은 주로 의원급의 다른 전문의들에 의해 제공됐다. 본 연구 결과는 여러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첫째, 결과는 다양한 임상 전문진료 영역에서 원격 모니터링 사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RPM은 심장내과, 소화기내과와 같은 내과 전문의들 사이에서 상당히 활용됐으며, RTM은 마취과, 정형외과 등 다른 전문의들에 의해 주로 사용됐다. 이런 결과는 메디케어가 보험급여하는 케어 관리 중심 서비스들이 주로 1차 케어 의사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 달리, 원격 모니터링은 더 광범위한 의사들에 의해 활용될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팬데믹 이후 의료계가 원격 모니터링 제공 및 청구에 대한 경험을 축적함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환자 케어 과정을 최적화하거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원격 모니터링과 다른 케어 관리 서비스 간의 중복 또는 보완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분석은 다양한 범위의 의사들이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서비스가 다른 케어 장소가 아닌 주로 의원급 진료실에서 이뤄졌음을 보여준다. 연구 기간 동안, 전체 서비스의 약 10%만이 재택, 요양시설, 또는 외래환자 병원 등 비(非)의원급 환경에서 제공됐다. 원격 모니터링의 목표가 의사가 다양한 환경에서 선제적 케어를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는 특히 환자 재택과 같은 특정 케어 장소에서의 도입 장벽을 이해하고, 그 이용을 확대할 기회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팬데믹 기간 동안 도입이 증가했던 ‘재택 기반 병원(Hospital at Home)’ 케어 모델은 환자가 자신의 집에서 급성기 수준의 케어를 받을 수 있게 하는데, 이런 환경에서 원격 모니터링이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 시사점 · 원격 모니터링은 의사가 보다 시의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자신의 케어 관리에 더 직접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함으로써 케어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 · 원격 모니터링은 다양한 임상 전문진료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RPM은 심장내과 전문의를 비롯한 내과 세부 전문의들 사이에서 상당히 활용됐고, RTM은 마취과 전문의 등 다른 전문의들에 의해 사용됐음 · 다양한 범위의 의사들이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주로 의원급 진료실에서 이뤄졌으며, 재택이나 요양시설과 같은 다른 케어 장소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제공됐음 |
* 본 컬럼은 의료기기를 비롯한 헬스케어 분야의 국내외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의료기기 관련 보건의료정책 마련에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주 발표됨
* 출처 : Trends in utilization of remote monitoring in the United States
Joo JH, et al. Health Affairs Scholar, 2025, 3(6), qxaf115. https://doi.org/10.1093/haschl/qxaf115
https://academic.oup.com/healthaffairsscholar/article/3/6/qxaf115/81575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