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비관세 등 애로사항 있으나, 한-사우디 보건의료 협력 따른 진출 기대

[KOTRA_해외시장동향_2018.6.13]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명

ㅇ 상품명: 의료기기(HS Code 9018, 9019, 9020, 9021, 9022)

 

ㅇ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는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 사우디 제조업 미비와 과거 의료산업 육성 부재로 수입 의료기기에 크게 의존
- 2012~ 2016년 수입 의료기기는 사우디 의료기기시장에서 90%에 가까운 높은 비율 차지

ㅇ 외국 기업이 주도하는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 GE, Simens, Phillips, Toshiba 4대 의료기기 기업의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주도 및 전담 유통채널 소유
- 2017년 7월 기준 54개의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이 존재하나, 상위 5개사*가 사우디산 의료기기시장의 약 40% 차지
* Jamjoom Hospital Supplies,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 Medical Appliances Corp, Arabian Medical Marketing Co Ltd, Al Shifa Medical Syringes Mfg Co Ltd, Arabian Health Care Supply Co

ㅇ 진단 장비, 소모품 비중이 높은 의료기기시장

- 자동 심박동 기록기, 초음파 진단 장치, 안과 장비 등의 진단 장비 비중이 높은 편
- 2015년 기준 진단 장비는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국가 전체의 50% 이상, 미국 30% 이상 수입하는 등 수입 제품이 대부분
- 진단 장비에 이어 의료용 소모품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
-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로 인한 의료용 드레싱, 흡수성 봉합사 등의 소모품 수요 확대

□ 수입동향

ㅇ 최근 3년 사우디의 국가별 수입규모

- HS Code 9018 기준, 40% 내외의 큰 비율로 미국으로부터 수입
- 최근 3년간 HS Code 9018 기준 미국, 독일, 멕시코 순으로 수입이 많이 이뤄졌음. 2016년 수입 상위 3개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67%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HS Code 9018, 9019, 9020, 9021, 9022 기준 한국의 대사우디 수출액은 2015년 약 3000만 달러임. 이후 2016년 약 2100만 달러, 2017년 약 3000만 달러를 기록
-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기 수출액의 1% 내외 수준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GE, Simens, Phillips, Toshiba 4개 외국 기업의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주도 
ㅇ 50여 개의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 중 Jamjoom Hospital Supplies,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 Medical Appliances Corp 등 5개사의 생산 점유율 비중 약 40% 차지

□ 유통구조

ㅇ 사우디 의료기기 유통은 현지 수입 유통상 및 에이전트를 통해 가능

ㅇ 공공부문 의료기기 유통은 걸프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GCC)의 공동구매 프로그램(Group Purchasing Program, GPP), 공기업 NUPCO, 보건부 주도 현지 업체 입찰 3개 방식으로 가능

- (GPP) 걸프 지역 아랍 국가 물품 가격 통일성 제고 위해 GPP 운영 및 사우디 정부는 매년 입찰 통해 의료기기 조달
- (NUPCO) 2007년부터 공공 의료기관 대상 의료기기 국가조달, 유통 등 공급을 위해 NUPCO(National Unified Procurement Company for Medical Supplies) 운영 및 보건부, 국방부 등 산하 병원 의료기기 조달
- (보건부 입찰) 사우디 보건부의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RFP) 및 현지 업체 온라인 입찰 통한 의료기기 조달

□ 관세율 및 인증

ㅇ 관세율
- HS Code 9018, 9019, 9020, 9021, 9022 기준 5%의 관세율 부과 

ㅇ 인증

- 국가등록(Medical Device National Registry, MDNR) 후 의료기기 설립 허가(Medical Device Establishment License, MDEL), 시판 허가(Medical Devices Marketing Authorization, MDMA) 취득 필요
- 국가등록은 시장 개요와 관련 업체 정보 수집 및 관련 규정에 근거해 의료기기 유통 가능성 여부 측정 절차
- 의료기기 설립 허가는 의료기기 생산, 수입, 유통 위한 사우디 규정 부합 여부 확인 절차로 생산기업, 수출기업, 유통기업 등 등록
- 의료기기 설립 허가와 시판 허가는 온라인 통해 신청 및 현지 대리인*을 통해서만 서류 및 샘플 등 제출 가능
* 현지 대리인: 지정 대리인은 의료기기 시판에 따른 부작용 및 제품 결함에 따른 법적 책임 부담

□ 시사점

ㅇ 증가하는 의료 수요에 따른 의료기기시장 성장 전망
- 연평균 2%*의 인구증가율로 인한 향후 의료 수요 충분
* 2017년 사우디 인구 2016년 대비 2.52% 증가

- 2017년 대비 2035년 40~59세 인구 150% 증가 및 60세 이상 인구 300% 이상 증가*
* 현재 30세 미만 청년층이 사우디 인구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중장년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음.

- 고온 건조한 기후, 모래 바람 등 야외 활동에 제한이 되는 환경으로 인한 운동 부족 및 식습관의 영향으로 사우디인 약 70%가 비만

- 10대 청소년 30%가 비만, 95%가 비타민 D 부족, 16%가 정기 흡연자임. 6세 아동 충치율 96%, 12세 청소년 충치율 93.7%로 나타나 의료 수요 증가 전망 

ㅇ 정부 주도 의료 수요 대응에 따른 의료기기시장 성장 전망
- 사우디, 2020년까지 6억 달러 투자 및 기초 보건 서비스 개선 추진 예정
- 사우디 보건부, 사우디 내 치과 의원 향후 2~3년 내 5000개 이상 확충 계획
- 담맘, 메카, 아브하 내 의료도시(Medical City) 건설 중이며, 대규모 의료 서비스 공급 전망

ㅇ 비관세 장벽으로 인한 진출 애로사항 존재

- 한국 의료기기 업체 S사에 따르면, 의료기기 등록절차와 같은 비관세 장벽은 사우디 의료기기 시장진출에 애로사항으로 작용
- 등록절차 내 담당자 재량 및 임의적 결정이 존재하거나 규정에 명시된 법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빈번

ㅇ 다국적 기업의 시장 선점으로 한국 후발기업 진출 어려움 존재

- 고가 정밀 의료기기, 대부분 선진국에서 수입
- GE, Simens, Phillips, Toshiba 등 의료기기 기업이 사우디 의료기기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
- 미국, 독일 제품의 브랜드 경쟁력 우위 상당

ㅇ 한-사우디 보건의료 협력에 따른 우리 기업 진출 기대

- 대사우디 의료기기 수출액 비중은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기 수출액의 1% 내외 수준이었으나, 양국간 보건의료 협력을 기초로 한국 의료기기의 진출 확대 기대
* 2016년 1월 24일 거점공관사업 의료 워크숍 개최 및 병원정보시스템 구축, 건강보험제도 구축, 간호사 연수 등 6개 분야 협력 합의

- 2018년 2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우디 식약청과 의료기기분야 협력회의서 국내에서 허가된 의료기기가 사우디에서 별도 등록 없이 유통 및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간소화 방안을 논의하기도 함.

-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 J사의 관계자 M에 따르면, 최근 증가하는 의료 수요에 맞춰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들은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한국 제품에 관심을 갖고 있음.

자료원: 사우디 통계청, Arab News, Saudi Gazette, Euromonitor, 사우디 관세청, 사우디 식약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무역협회, 뉴시스,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작성자: Qazzaz Rami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무역관

△ 원문 보러 가기 : 뉴스 → 산업·상품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