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입찰정보·현지 A/S센터 설립·유통업자 등 정보 제공 필요

□ 정부에 바라는 해외 수출지원 정책


“정부의 수출지원책, ‘선택과 집중’ 요구돼”
국가별 입찰정보·현지 A/S센터 설립·유통업자 등 정보 제공 필요

 

▲ 임 준 영
메디쎄이 실장

“현재 수출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과거 어떤 애로 사항들이 있었는지 면밀히 분석 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14년 4조 9,700억 원으로 2013년(4조 6,300억 원) 대비7.4% 성장했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6.3%로 시장 규모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데이터(Global Data)에 따르면 2014년 세계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약 400조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에 집중하는 국내기업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이 내수 시장에서 확대해 해외 수출에 사활을 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국내 의료기기 제조 기업들이 100인 이하의 운영인원에, 상당수가 생산인원에 해당해 수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부분 해외 학회 및 전시회 참가를 통해 바이어 및 유통 업자를 개별적으로 발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쏟는다. 하지만 현실은 다국적 기업들의 거대한 부스에 수많은 참관자들이 몰리고, 국가관을 통해 참가한 소규모 영세 업체들은 영업사원들이 다른 부스들을 열심히 돌아다닌다. 경쟁사 제품을 확인하기도 하지만, 새로운 파트너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염없이 파트너가 우리 회사 부스로 찾아오기를 기다릴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올해 초 러시아 정부는 의료 부문의 정부 입찰과정에서 2개사 이상의 러시아 기업이나, EEU 회원국(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기업이 참가를 신청할 경우, 다른 외국기업은 입찰에 참가할 수 없게 하는 법령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외국 의료기기업체는 경매나 입찰에서 어떤 업체도 해당 입찰을 응하지 않거나 관세동맹 국가 중 단 하나의 기업만 입찰을 원할 때 한해서만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러시아는 최근 현지화 조건도 강화했다. 제품 구성 중 수입품 가격이 최종 생산품 가격 5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했고, 초음파 장비는 러시아 내에서 조립에서 포장까지 하도록 하여 외국 기업의 러시아 시장으로 진출하는데 장벽을 높였다.

높아가는 무역기술 장벽
중국 역시 공공 시장에서 자국 시장에서 생산된 제품에 한해 공공조달 입찰 자격을 주게 되면서, 기존의 중국 업체를 통한 판매에서 이제는 생산까지 중국 회사를 통해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중국이 자국 산업 보호 정책과 비관세장벽 등을 보다 강화할 것이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위의 두 경우는 그나마 뉴스를 통해 국내에 공개된 정보이다. 하지만 수많은 입찰 정보들 을 확인하는 것은 개별 기업으로써는 불가능한 일이다. 예를 들어, 중국의 한 자치성에서 입찰 품목, 일정 그리고 가격 정보가 공개됐는데, 국내 의료기기 기업 중 과연 그 정보를 미리 알아 준비해 뛰어드는 업체가 몇 군데나 있을까? 어쩌면 단 한 군데 기업도 모르고 다른 국가의 기업들에게 기회를 빼앗겼을 수도 있다.

코트라에서는 국가별 의료기기 정보들을 업데이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글을 읽다 보면 대부분의 국가 시사점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내용이 있다. 현지 바이어들은 한국산제품에 대한 A/S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는 것이다. 그만큼 현지의 의료기기 실사용자 및 유통업체의 A/S 요구에 즉각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다.

한계 있는 정부의 수출지원
보건복지부에서는 2013년부터 해외종합지원센터 구축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2개소를 구축해 현지 거점형 A/S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는데 기업들이 체감하기에는 아직은 부족한 느낌이다. 

대부분의 의료기기 제조 기업들이 비슷한 환경에 처해 있을 거라 생각된다. 현지 대리점 및 사용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A/S 요구가 발생하면, 현지 재고가 없거나, 제품 수정이 필요할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고자 보건복지부에서 센터 사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제품보관창고 문제 및 현지에서 간단한 제품 수리 및 수정이 가능한 엔지니어 확보 등은 풀어야 할 숙제이다.

의료기기 업력이 어느 정도 되는 기업들은 많은 고생과 노력을 통해 현지 유통업자(distributor)를 확보해 제품을 해당 국가에 제공한다. 

하지만 이제 수출을 준비하는 기업과 신생기업들에는 너무나 어려운 일이다. 또한 기존 업체들 역시 새로운 국가로 수출을 계획 할 경우, 상황은 신생기업과 다를 바 없다. 현지 유통 업자에 대한 정보를 코트라에서는 현재 무료 및 유료 서비스로 별도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가지고 있지만, 국가 및 세부품목별 각각의 서비스를 요청하기에는 기업 입장에서는 만만치 않은 부담이며, 정확히 매칭되는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앞의 세 가지에 대한 기업들의 니즈는 무엇일까?
국가별 더 세부적으로는 자치단위별 입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면 우리 기업들은 내가 생산하는 제품을 해당 국가로 수출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다양하게 확보될 것이다. 국가 간 또는 유관 부처 간 조달정보 협약이나 업무협약이 이뤄져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면 관련 기업들은 추가 시장을 확대할 수 있고, 해당 국가는 우수한 제품을 적정한 가격에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국가별 공공조달 파트너링이 점차 확대됨으로 인해, 이런 서비스는 앞으로 반드시 기업들에게 필요한 사항이다.

해외종합지원센터는 좋은 사례이다. 다만 기업들이 수출하고 있고, 앞으로 수출하고자 하는 숫자에 비하면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기업들이 신뢰하고 제품을 맡길 수 있는 보관창고 분류가 필요하며, 동종 품목군의 현지 A/S가 가능한 엔지니어가 확보돼야 한다.

이는 교육을 통해 간단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바로 현지에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우선 경쟁 관계에 있는 품목을 가진 기업들에 대해서 어떻게 Boundary를 구성할 것인지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대부분 수출 국가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특정 품목에 대한 현지 A/S는 기업별 제품의 질(Quality)를 동반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며,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유통업자 부분은 단기간에 진행할 수 있는 사항은 아니다. 거의 매년 비슷한 요구가 기업들에게서 나오는 것처럼 품목군별 유통업자 정보를 담은 디렉토리를 구축하는 것은 어떨까? 특정 품목에 대한 서비스요청을 통해 답변이 오도록 기다리는 현 시스템이 아닌 품목별 디렉토리를 기업들이 직접 검색하는 방식이다. 협회나 조합 등 유관단체가 현지 전시회 부스를 통한 다양한 유통업자 및 바이어 정보를 차곡차곡 확보하고, 이를 품목별로 정리된 정보를 제공한다면, 어느 기업이 마다하겠는가?

정부 지원의 선택과 집중 
정부 및 지자체들은 연구개발 지원 사업 이 외에도 다양한 비R&D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너무나 다양해서 기업들은 모르고 지나가는 사업도 많다. 2013년 기준 해외 수출을 하고 있는 국내 의료기기 기업은 750개이다. 현재 수출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과거 어떤 사례들이 있었는지 애로 사항들을 면밀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의료기기별 국가별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점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나, 대부분의 기업들이 느끼고 겪고 있는 공통적인 사항들이 분명 집약될 것이다. 정부 및 지자체들은 이걸 해결해주면 된다. 너무나 많은 지원사업들은 특정 기업들에게 집중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사업들로 집중해 지원을 하게 되면 더 많은 기업이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더 많은 기회들로 연결될 것이다. ‘선택과 집중’ 우리는 이 문구를 많이 들어왔다.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지원은 너무나 다양해 모두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사항들을 골라 집중해서 지원하면, 기업들은 매출을 올리고, 지속적인 R&D 투자로 이어질 것이며, 결국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산업은 한층 업그
레이드되지 않을까 싶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