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수의 health policy insight

[Health Policy Insight 243회]   

국제 협력을 통한 새로운 의료기술평가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의 정의(definition)

▲ 이 상 수
Medtronic North Asia 
(Korea and Japan)
대외협력부 전무

전세계적으로 의료기술평가(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개발에 대한 편찬을 포함하여 HTA 역사에 대해 많은 글이 작성되어 왔다. HTA 분야는 1976 HTA 관한 첫번째 보고서를 발표한 미국 기술평가국(U.S.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에서 시작하여 매우 체계적인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이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HTA에 대한 과학, 방법론 및 실행을 평가, 개선 및 조화시키기 위한 수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특히, HTA의 개선된 실행 및 프로세스를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s)가 개발되었고, ‘HTA 유럽연합 네트워크(European Union Network for HTA, EUnetHTA)’는 HTA Core Model®을 도입했다. 실제로 공공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대부분의 HTA 기관은 HTA 방법론 및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가이드라인과 절차 매뉴얼을 발표했다. 평가(assessment), 보건경제학(health economics), 환자 및 공공 참여, 윤리, 숙의 프로세스(deliberative processes), 지식 전이(knowledge translation) 및 HTA 영향 평가에 필요한 의료기술의 정보 검색, 확인 및 선택을 포함한 HTA 구성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몇 가지 추진계획이 있었다. HTA 모범사례에 대한 ‘약물경제학 및 성과연구 국제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Pharmacoeconomics and Outcomes Research, ISPOR)’ HTA 협의회 실무그룹(Council Working Group) 보고서에는 HTA의 상이한 구성요소에 대한 모범사례가 종합적으로 요약되어 있다.

HTA 과학과 실행을 발전시키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HTA 정의에 대한 전세계적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년에 걸쳐 HTA 대한 가지 정의가 사용되었다. 1970 년대에 HTA를 처음 사용했던 Banta에 따르면, 기술평가(technology assessment)에 대한 초기 연구는 HTA를 기술 적용의 단기 및 장기 결과를 살펴보는 정책연구의 한 형태로 정의되었고 정책입안자들에게 정책 대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였다. 1990년대에 Goodman은 HTA를 의료기술의 속성, 효과 또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로 정의했으며, 그 목적은 헬스케어에서 기술 관련 정책결정을 알리는 것이었다. 2000년대 Draborg 연구자는 HTA 정의와 실제 적용을 국제적으로 비교했다. 그들은 헬스케어 중재(healthcare interventions) 의료적, 사회적, 윤리적, 경제적 결과를 연구하는 다학제 정책분석 분야라는 HTA 정의는 실제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는데 HTA 자주 좁게 정의되기 때문이었다.

최근에 HTA 실무자들은 HTA 용어집(http://www.htaglossary.net)에 게시된 정의를 인용 한 경우가 많으며, 이는 다른 파트너 조직과 함께 INAHTA와 HTAi의 공동 추진계획이다. HTA 용어집(Glossary)에서의 정의는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된 새로운 버전 (박스1)으로 대체되었지만 참고로 원래는 다음과 같다: 의료기술의 속성과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로서 직접적 및 의도한 효과를 다룰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의 간접적이거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다루고 의료기술에 관한 의사결정을 알리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 참고: HTA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성된 명시적인 분석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는 학제간 그룹이 수행한다. 또한 ISPOR,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및 유럽(EUnetHTA), 아시아(HTAsiaLink) 및 아메리카(RedETSA) 지역의 HTA 네트워크도 자체 HTA 정의를 사용했다. HTA의 중심 개념은 사용된 정의에서 일관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본질적으로 기술적인 경향을 보이는데 영어에서 다른 언어로 쉽게 번역할 수 없는 단어나 문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기억에 남거나 흡인력이 없다. 또한 공개된 협의과정을 통해 광범위한 HTA 커뮤니티가 개발하고 동의한 단일의 정의를 작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염두에 두고 INAHTA와 HTAi가 공동으로 이끄는 공동 국제 업무그룹(joint international task group)은 국제적으로 수용되는 HTA의 새로운 정의를 만들기 시작했다.

2018년 당시 INAHTA 이사회 의장(Board Chair)과 HTAi 대표(President)는 국제적으로 수용되는 새로운 HTA 정의를 개발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러한 추진계획에 착수하기 위한 타당성 업무그룹(feasibility task group)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합의를 달성하기 위해, 타당성 업무그룹에 주요 지역과 국제 네트워크 및 조직을 참여시키는 것이 중요했다. 타당성 업무그룹 참여에 대한 초청은 EUnetHTA, HTAsiaLink 및 RedETSA로 확대되었고 모두 참여를 수락했다. 협업에 대한 광범위한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추가적 초청이 확대되었고 ISPOR은 회원이 되었고 WHO는 그룹의 관찰자로 활동했다.

박스1. HTA 새로운 정의(The new definition of HTA)

HTA 정의는 아래와 같으며, 4개의 노트(notes)로 제공되는 중요한 명확한 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HTA는 명시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명주기의 상이한 지점에서 의료기술의 가치를 결정하는 다학제 프로세스이다. 공정하고 효율적이며 고품질의 의료시스템을 도모하기 위한 의사결정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노트1(Note 1): 의료기술은 의학적 질환을 예방, 진단 또는 치료하기 위해 개발된 중재(intervention)이다; 건강을 증진하고; 재활을 제공하고; 또는 헬스케어 제공을 조직한다. 중재는 검사, 의료기기, 의약품, 백신, 시술,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HTA 용어 정의; http://htaglossary.net/health+technology).

노트2(Note 2): 이 프로세스는 공식적이고 체계적이며 투명하고 가장 최신의 방법을 이용하여 최상의 근거를 고려한다.

노트3(Note 3): 의료기술에 대한 가치의 차원(dimensions)은 기존 대안과 비교하여 의료기술을 이용하는 의도된 및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는 종종 임상적 효과성(clinical effectiveness), 안전성, 비용 및 경제적 영향, 윤리적, 사회적, 문화적 및 법적 이슈, 조직 및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환자, 친척, 간병인 및 인구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이 포함된다. 전반적인 가치는 취한 관점, 관련 이해당사자 및 의사결정 문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노트4(Note 4): HTA는 의료기술의 수명주기, 즉 시판 전, 인허가 중, 시판 후, 의료 기술의 투자중단(disinvestment)에 이르기까지 상이한 시점에 적용될 수 있다.

시사점

HTAi, INAHTA, EUnetHTA, RedETSA, HTAsiaLink, ISPOR, HTA 용어집위원회(Glossary Committee) 및 WHO와 같은 선도적인 HTA 네트워크, 학회 및 글로벌 조직 간의 협력은 공동의 목적을 위한 국제 HTA 커뮤니티의 성숙을 반영하는 이정표임

- 국제 공동 업무그룹에 의해 달성된 합의는 새로운 HTA 정의를 위한 이러한 참여 네트워크, 학회 및 기관에 대한 중요성을 불러일으킴

- 강력하고 협의된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및 결과물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강화함

출처원: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international-journal-of-technology-assessment-in-health-care/article/new-definition-of-health-technology-assessment-a-milestone-in-international-collaboration/8A3BA65D279F3FDAA83ADB3D08CF8C17
*본 컬럼은 의료기기를 비롯한 헬스케어 분야의 국내외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 및 연구보고서 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의료기기 관련 보건의료정책 마련에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주 발표됨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