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제재해제 시, 대이란 10대 수출유망 예상 품목

[코트라 해외시장동향_2015.05.28]

 

제재해제 시, 대이란 10대 수출유망 예상 품목

- 시장규모 확대 및 성장 잠재력이 높은 수출유망 품목 - 

 

□ 자동차 부품

 

 ○ 이란은 중동 최대 자동차 생산국이며 연 100만 대 이상 생산 능력 보유. 이에 따라 관련 부품 수요가 꾸준히 많음.

 

 ○ 한국 자동차(현대·기아)에 대한 프리미엄이 존재하고, 자동차 부품 성능 및 품질에 대한 인식이 좋음.

  - 현지는 노후화 차량 및 중고차량이 많아 제재해제 시, 우리나라 A/S 부품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

  - 중국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 존재

 

 ○ 제재해제 시, 이란 자동차 생산 양대 메이저 기업(호드로, 사이파)의 생산 및 조립라인 증설이 예상되는 바, 관련 OEM 부품 수요도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

 

□ 석유화학제품

 

 ○ 중동 제2위의 석유화학제품 생산국이자 세계 4위의 산유국

   * 석유화학제품 생산국 순위(사우디→이란), 산유국 순위(베네수엘라→사우디→캐나다→이란)

 

 ○ 해당 산업은 이란 정부의 집중 육선 산업군이므로 산업규모 확대가 예상됨. 제재 해제 및 반다르압바스 직기항 가능 시 관련 수요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현지 석유 정제기술 및 기계 설비·인프라 부족, 노후화로 상당 부분 수입에 의존함.

   * 2014년 주요 10대 수입국으로부터 수입량: 약 2억5600만 달러

   * 2014년 한국으로부터 수입량: 1억1000만 달러(1위)

 

□ 철강제품

 

 ○ 설비 및 인프라 문제와 철근 생산 부족으로 50% 이상 수입에 의존

   * 2014년 주요 10대국 수입국으로부터 철강 수입량: 약 9억9900만 달러

   * 2014년 한국으로부터 철강 수입량: 1억5000만 달러(2위)/UAE(4억1600만 달러, 1위)

 

 ○ 제재 해제 시, 이란 메이자 자동차 제조업체의 강판 수요 및 대형 건설·항만·공항 프로젝트 재개 등에 따라 관련 수요 증가 예상

 

 ○ 현지 철강 생산이 빠르게 성장하나,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수요를 중심으로 향후 관련 수요 확대 전망

 

□ 의료기기

 

 ○ 이란의 의료기기 시장은 201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9.1%로 예상됨.

  - 해당 시장규모는 중동 5위이며 약 8억3200만 달러(자료원: BMI 산업보고서)

   * 시장규모 순위(사우디→UAE→요르단→이스라엘→이란)

 

 ○ 공공병원 시설 및 장비의 노후화로 대체 수요 증대

  - 현지 자체 의료기기 생산시설 낙후로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

   * 주사기, 바늘 등 기본적인 의료 소모품 제조는 가능

 

 ○ 아울러 생명과 직결된 의약품에 대해 높은 충성도를 보이므로 향후 시장규모 증대 예상

 

□ ICT 관련제품

 

 ○ 현지 인터넷·통신 인프라 확대에 따라 관련 장비 수요 증대 예상

   * 연도별 수입 변화 추이: 2012년(3억1800만 달러) → 2013년(4억1200만 달러) → 2014년(4억4200만 달러)

   * 한국으로부터 수입량: 2012년(1900만 달러, 6위) → 2013년(2500만 달러, 6위) → 2014년(2900만 달러, 7위)

 

 ○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인터넷·모바일기기 사용자

 

 ○ 현지 젊은층의 경우 IT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음.

  - 30세 이하 연령층이 주요 고객(전체 사용자의 2/3에 해당)

 

□ 가전제품

 

 ○ 제제완화 시, 경기 회복세 및 현지 실질구매력 증가로 관련 소비 증가 예상

 

 ○ 한국 제품의 높은 시장점유율(약 68%) 및 브랜드 파워 지속 전망

 

 ○ 애플 및 밀레 등 서구 브랜드의 경우 현지 공식 유통채널 및 생산 기반이 없어 단기적인 시장점유율 확대에는 한계 존재

  - 아울러 삼성 및 LG의 경우 관련 제품 품종이 다양하나, 서구 브랜드의 경우 품종이 한정돼 있으므로 현재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제재해제 시 특정 품종 및 고급제품에 대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

 

□ 전력기자재

 

 ○ 전력시설의 노후화 및 전력 부족 등으로 신규 발전·배전 설비 등 관련 수요 확대 전망

 

 ○ 이란 정부의 에너지 다각화 정책에 따라 풍력 및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수요도 함께 증가 예상

  - 제5차 경제개발계획(2010년 3월~2015년 3월)에 따라 2015년 말까지 풍력과 태양력 발전으로 5000㎿ 전력 생산 계획

  - 또한, 현재 풍력발전의 경우 전체 에너지 수요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으나, 2016년까지 비중을 1.5%로 늘리는 것이 이란 정부의 목표임.

 

□ 산업기계

 

 ○ 제조업 육성정책 및 정부의 생산설비, 기계류 수입 장려에 따라 관련 수요 증가 예상

  - 제제 심화 전에는 유럽산 기계류가 강세였으나, 제제 심화 후 한국·중국 등 아시아산 기계류 수입 증가

   * 2014년 수입현황: UAE(1억2200만 달러) → 한국(5800만 달러) → 중국(5300만 달러)

 

 ○ 민간기업의 생산능력 증가로 제재 해제 시 관련 수요 확대 전망

 

□ 건설기자재

 

 ○ 그동안 연기됐던 건설 프로젝트 시장의 발주가 본격화되면서 관련 기자재 수요 대폭 확대 전망

  - 이란은 2014년 건설 산업에서 2.8% 성장세를 보였으며 향후 5년간 평균 3.4% 성장세를 보일 전망

 

 ○ 아울러 이란 정부는 식자재 보조금 지원정책을 인프라 구축 투자 쪽으로 정책방향을 최근 변경함.

 

 ○ 또한 상업용 빌딩, 호텔, 테마파크 등 민간 건설 프로젝트도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화장품

 

 ○ 이란 여성의 경우 뷰티산업 및 화장품에 대해 매우 관심도가 높음.

  - 공식적인 통계가 존재하지 않으나, 이란 여성은 가품 화장품 소비가 매우 많으며 해당 가품은 유명 유럽 및 미국 브랜드 이름을 띠고 있음.

 

 ○ 늘어나는 청장년 인구 및 소비패턴의 변화, 제재완화 등에 따른 구매력 증가와 마케팅 및 광고 활동 등으로 현재 뷰티산업은 호황을 누리고 있음.

  - 특히, 안티에이징 제품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고 프리미엄 제품 영역이 확장되고 있음.

 

 

자료원: KOTRA 테헤란 무역관

[작성자] 박재영(테헤란무역관)

코트라 해외시장정보 바로가기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