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른 관세 인상 등으로 주요 경제 부문 변화 예상"

[KOTRA_해외시장동향_2019.2.27]

2019 이집트 경제의 주요 분야별 전망

- 제조업 육성 정책에 따른 관세 인상 등으로 주요 경제 부문 변화 예상

□ 국내총생산(GDP)

ㅇ 2019년 GDP는 전년대비 5.6% 성장 전망

- 경제 전문가들의 분석에 의하면 이집트는 신행정 수도 건설, 천연가스전 가동, 관광객 수 회복 등의 호조 요인으로 인해 전년대비 5.6% 경제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

- 재정적자는 GDP의 3% 미만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2023년까지 공공부채도 현저히 감소할 것으로 전망

- 2018년 6월 IMF(국제통화기금)는 이집트 정부의 경제개혁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ㅇ 이집트 정부의 대대적인 관세 인상

- 이집트 산업통상부는 불필요한 소비재 수입을 억제하고 자국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해 자국 내 생산 가능한 25개 품목에 대한 공장 등록제를 시행 중

- 2018년 9월 전체 관세 부과 항목 중 약 40%인 5791개 항목에 대해 관세율 조정

□ 환율

ㅇ 2019년 후반기 미국 달러 대비 평균환율 19이집트 파운드 대로 상승 예상

- 2017년 3월 이후 이집트 정부는 미국 달러 대비 평균환율 18파운드 선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개입해왔음.

□ 국제무역

ㅇ 이집트 국제 무역은 일부 부진 예상

-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관세 인상으로 인해 수출 부진 가능성 다대

- 무선통신기기 위주의 전자제품 수요 확대 예상

- 이집트 통신규제청(NTRA)은 브로드 밴드, 유무선 통신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이집트의 정보통신분야는 글로벌 아웃소싱에 있어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 투자

ㅇ 외국인투자 정체

- 작년 12월 피라미드 근처 테러로 인해 이집트 관광산업이 위축될 가능성 증가

- 아랍의 봄 이후 어렵게 자리잡았던 관광산업을 다시 회복시키는 것이 이집트 경제 전체 회복에도 매우 중요

- 이집트 산업통상부는 불필요한 소비재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자국 내 생산이 가능한 25개 품목에 대한 수출품 제조공장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음.

- 자유무역지대에 소재한 기업들의 투자 인센티브 및 세금 면제 정책이 실행 단계에서 지연되는 상황이 잦아 개선이 필요함.

- 기업활동을 위한 통장 및 신용카드 개설이 까다롭고 절차가 복잡하며 2019년에도 개선될 가능성이 낮아 보임.

- 은행 거래 시 시스템의 비효율성과 과다한 은행 수수료가 부과되는 상황이 단기간에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임.

ㅇ 투자 유치를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

- 이집트는 2017년 투자세 30% 감면 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앞세운 새로운 투자법을 시행함.

- 이집트 정부는 해외직접투자 유치를 위해 소규모 투자자 보호, 기업설립 등에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임금

ㅇ 2019년 최저임금은 한달 기준 1200파운드

- 전년대비 변동 없음.

- 정부 주도하의 제조업 육성 정책과 국가 주도 사업으로 인해 실업률은 점점 낮아지는 추세

□ 인터뷰

ㅇ 벨톤 파이낸셜 투자은행장 낸시 파르미(Nancy Fahmy)

- 해외직접투자(FDI) 수준이 계속 좋았고 이자율 역시 떨어질 전망이라고 함. 해외직접투자 규모는 60~70억 달러를 유지했으며 하락세에 접어든 인플레이션과 인프라 사업으로 인해 이집트는 2019년 5.5~6%의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

ㅇ 아라파 홀딩스 투자 관계장 누르한 자주(Nourhan Zaazou)

- 이집트 경제가 안정을 되찾고 있으며 주요 경제지표들이 상승세를 보일것이라고 함.
- 지난 3년간 5.3%의 적자율을 보인 것과 대조적으로 작년 회계년도 기준 4.2%이고 올해 회계년도 상반기 기준으로 3.6%로 적자율이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적자 해소에 진전이 있었음.
- 부동산세 도입 이후 공공수입 특히 소득세의 향상으로 공공예산의 흑자율 또한 증가함.

□ 시사점

ㅇ 2019년 이집트 경제는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정부 주도 프로젝트들이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 대형 프로젝트들이 추진되기 위한 조건으로써 수출 확대, 제조업 활성화 등 이집트 정부의 재정적 여력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수단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임.

ㅇ 강력한 중앙통제를 기반으로 정치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있다는 평가가 대세

- 이러한 상황은 외국투자기업들에 호재가 될 것으로 보이나 소규모의 산발적인 테러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어 안정적인 치안 확보를 위한 정부의 대처가 중요한 변수임.  

ㅇ 성장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써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시장접근 노력 필요

- 이집트 정부의 외국인투자유치 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기업의 전략적 접근 필요

- 경제성장성이 비교적 높은 국가이지만 행정절차 불투명, 보이지 않는 규제장벽 등 기업활동 상의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유력 에이전트와의 협업 등 현지화 전략이 필요함.

자료원 : World Bank, IMF, 이집트 중앙은행,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작성자: Pakinam Magdy Awad Hassan El Batout 이집트 카이로무역관

△ 원문 보러 가기 : 뉴스 → 경제·무역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