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프로젝트 및 소비재 부문 국내기업 진출 기상도 '맑음'"

[KOTRA_해외시장동향_2019.2.21]

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및 2019년 경제전망

- 2019년 유가회복과New Kuwait 2035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3.5%의 경제 성장률 달성 예상
- 프로젝트 및 소비재 부문 국내기업 진출 기상도 '맑음'

□ 쿠웨이트 개요

○ 지리

- 쿠웨이트는 아라비아 반도(Arabian Peninsula)의 북동쪽 구석, 아라비안 걸프 (Arabian Gulf)의 머리에 위치

- 북쪽으로는 이라크, 남쪽으로는 사우디 아라비아를 접경하고 있으며, 아라비아 걸프만을 동쪽으로 끼고 있어 전통적으로 중동의 중요한 요충지

○ 인구

- 총 인구는 450만 명 수준이며, 약 3분의 1은 쿠웨이트인, 나머지 3분의 2는 80개국 이상에서 온 외국인 거주자들로 구성

○ 경제

- 국가 경제를 석유 관련 산업이 주도하며, 총 석유 매장규모는 약 1015억 배럴로 추정, 전세계 매장량의 약 7%를 차지

- 석유 산업이 GDP의 절반 이상, 정부 수입의 94.4%를 차지.

- 석유 정유 및 석유 화학 공정이 지배적 산업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비 석유 관련 제조 및 농업 분야는 매우 제한적

□ 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 2018년 쿠웨이트 경제 성장률 2.3% 달성

- 2018년 쿠웨이트의 GDP 성장률은 석유 생산량 증가 및 유가회복에 힘 입어 가속화

- 글로벌 신용도 성장과 유가회복으로 인하여 민간투자 역시 활성화 추세-비 석유 부문 제조, 운송 및 건설 등 일부 산업은 위축, 둔화

- 2018년 물가상승률은 0.8%로 다년간 최저치로 하락하였으며,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0.6%로 하락하여 안정적인 경제상황과 소비심리 회복을 반영

- 쿠웨이트 정부는 부가가치세 도입을 2021년까지 유예

○ 2018년 한국-쿠웨이트 수출입 결산

- 한국은 쿠웨이트의 수입국 중 8위(4.7%), 수출국 중 1위(18%)에 해당

-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주요 수출품은 전력용 기기, 철강판, 자동차, 주요 수입품은 원유, 석유제품, LPG

- 수출: 상위 10위 수출품 중 자동차를 제외한 9개 품목이 모두 프로젝트 관련 기자재

- 수입: 원유 수입은 전년 대비 증가, 석유제품, LPG등은 감소

□ 2019년 쿠웨이트 경제 전망

○ (대내여건) 유가 회복으로 인하여 대내 경제여건 및 소비심리는 양호할 것으로 예상

- 4.1%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부동산가격 및 인플레이션 역시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

- NEW KUWAIT 2035 국가 비전사업으로 3,500개 이상의 중소기업 육성 및 청년창업 지원 예정으로 비 석유 부문 시장 확대 및 성장 촉진 예상

- KUWAITIZATION 정책 확산으로, 쿠웨이트 내 자국민 의무고용률 증가예정

○ (대외여건) 석유 생산량 증가와 소비심리 완화로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신보호주의 및 자국산업육성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

- 석유 생산량이 2019년 최소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신 보호주의 현지화 요건 강화, 프로젝트 기자재 30% 이상 현지제품 의무사용화

○ (프로젝트) 유가 회복으로 중동 내 취소 및 지연 된 기존 프로젝트 재개 예상

- 특히 건설, 교통 등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와 ICT 분야 프로젝트들의 증가 예상

□ 2019년 쿠웨이트 한국 기업 진출 유망 분야

○ (건설프로젝트) 유가 회복과 NEW KUWAIT 2035 추진으로 건설 및 프로젝트 분야 수요 증가 예상

- 2019-20년 총 1천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발주가 예정

- 특히 2019년 완공예정인 Sheikh Jaber Causeway교량 완공 후 대륙과 연결되는 부비얀섬의 각종 기반시설의 건설 프로젝트들이 순차적으로 입찰등록 예정

- 병원정보시스템(HIS), 지능형교통체계(ITS), 보안시스템, 스마트시티 등 타 프로젝트에 연계되는 융복합형 ICT 프로젝트 수요 역시 증가 예상

○ (화장품) 한류에 힘입어, 매년 평균 50% 이상의 가파른 성장세

- 중동 내 한류 열풍으로 젊은 소비계층과 여성 소비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

- 스킨푸드, 에뛰드하우스 등 한국 화장품브랜드 3개가 쿠웨이트 쇼핑몰에 입점해 있으며, 한국산 피부관리 기기 및 화장품을 사용하는 피부관리샵도 다수

- 2018년도 화장품 분야 총 수출액은 240만 달러 규모이며(MTI Code 227320), 최근 3년간 매년 평균 50% 이상 가파른 성장세 지속

○ (보건의료) 한국 의약품, 의료소비재 및 의료서비스 분야의 쿠웨이트 진출 가속화

- 2018년도 의약품 분야 총 수출액은 200만 달러 규모이며(MTI Code 226200), 최근 3년간 매년 평균 25% 이상 성장 지속

- 의료서비스 분야의 쿠웨이트 진출 가속화에 따라 한국산 보건의료 품목들의 쿠웨이트 수출 역시 탄력을 받을수 있을것으로 전망

□ 시사점 및 진출 전략

○ 유가의 회복세와 소비심리 회복, 한국-쿠웨이트 수교 40주년 기념식, 한류, 부가세 도입 유예 등 여러 호재들로 인하여 한국기업들의 쿠웨이트 진출 여건은 매우 양호

○ 소비재분야 진출 희망 기업의 경우 각종 인증 및 현지 정보 확인이 필수

- 국내 기업의 쿠웨이트 현지 트렌드 및 시장 진출 성공사례 분석이 필요

- 쿠웨이트 등 중동 국가에서는 외국기업 단독으로 법인설립 및 사업추진이 사실상 어렵기때문에, 중동에서 열리는 전시회 등을 통하여 신뢰할만한 현지 파트너(에이전트)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쿠웨이트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사전 벤더리스트 등록 및 에이전트 선정 필요

- 쿠웨이트의 경우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서는 반드시 발주처의 벤더리스트 등록과 쿠웨이트 에이전트 선임이 선행되어야 함

- KOC(국영석유공사)의 PQ 담당자는 "벤더리스트 등록의 경우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을 경우 반드시 입찰 예상시기를 미리 파악하고, 그 시기 이전에 해당 발주처의 벤더리스트 등록 절차를 마무리 해야 한다"고 조언

- 입찰에 직접 참여를 희망할 경우, 경쟁력 있는 기업들과 컨소시엄 형태를 통한 참여 방식 또한 고려 가능

자료원 : IMF, IHS Markit, MAPS, MEED Project, 한국무역협회, Arab Times, Kuwait Times 등 언론자료, KOTRA 자체자료 종합
작성자: 박성우 쿠웨이트 쿠웨이트무역관

△ 원문 보러 가기 : 뉴스 → 경제·무역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