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의치 및 의치부품, 의치케어 제품은 대부분 2등급 혹은 3등급 의료기기"

[KOTRA_해외시장동향_2019.1.11]

중국 의치 시장동향

- 고령화에 따라 의치 시장규모 지속 확대 전망
- 의치시장과 더불어 틀니케어 제품 수요도 증가

□ 상품명 및 HS 코드

ㅇ 상품명: 의치 및 의치 부품

ㅇ HS 코드 및 관세율

□ 선정 사유

ㅇ 중국 소비자의 의료 지출액 증가와 치아 건강 및 치아 미용에 대한 인식 향상, 고령화 등 요인으로 중국 의치시장은 빠르게 발전 중임. 중국 정부의 국민 건강 증진 계획에 따라 향후에도 구강 건강에 인식 제고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 의치를 비롯한 치과 분야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임.

- 중국산업정보망 통계에 따르면 2011~2017년 중국 임플란트시장은 성장률이 56%에 달하며, 중국은 세계 임플란트시장에서 성장이 가장 빠른 시장 중 하나임.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중국 의치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017년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11.7%확대됨.

- 중국 인구의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의치 수요가 지속적 늘어남. 2016년 중국 의치 수요는 9220만 개였으며 2017년에는 1억250만 개로 집계됨.
- 최근 몇 년간 중국 의치 시장규모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임. 2014년에 50억 위안을 넘어섰으며 2017년에는 64억7000만 위안을 기록함.

ㅇ 즈옌컬설팅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의치 생산량과 수요량은 각각 6억3600만 개, 2억5600만 개로 예측됨.

□ 수요동향

ㅇ 가철성 의치는 가격부담이 적고 시술 없이 착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의 요인으로 중국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함.

- 의치는 종류가 다양하며 크게 임플란트 의치, 가철성 의치, 브릿지 의치 3가지로 구분됨.
- 즈옌컨설팅 통계를 따르면 2016년 임플란트 의치 수요량은 70만 개, 가철성 의치 수요량은 5442만 개, 브릿지 수요량은 3707만 개로 집계됨.
- 중국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임플란트 의치 수요가 매년 두 자리 성장률을 보이며 급성장 중임.

□ 수입규모 및 동향

ㅇ 최근 3년간 일본은 중국 최대 의치 수입국이며, 2017년 기준 전체 수입액의 50%이상이 일본으로부터 수입됨.
- 2017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1만 달러로 전년대비 265.5% 증가함.

ㅇ 의치 부품은 최근 3년간 평균 20% 이상 수입이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임.

- 2017년 기준 고정기, 인공치근 등을 포함한 중국 의치 부품 수입액은 2억6500만 달러에 달함.
- 2017년 기준 중국의 한국 의치 부품 수입액이 6358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 중 1위이며, 전체 수입액의 24%라는 높은 비율을 차지함. 2위인 스웨덴은 5404만 달러로 20.4%의 점유율을 기록함.
- 3위 스위스, 4위 독일, 5위 미국, 6위 이스라엘, 7위 이탈리아, 8위 스페인에 순이며 상위 수입국 중 유럽이 강세를 보임.
- 의치 대비 인공치근 등 정밀도가 높은 의치 부품은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상황임.

ㅇ 임플란트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소비자의 부담을 덜기 위해 2017년 12월부터 인공치근 수입관세가 4%에서 2%로 하향 조정됨.

□ 시장 현황

ㅇ 전 세계 의치 가공업무의 60~70%가 중국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집계됨.

- 중국 의치 가공업체는 선전을 중심으로 한 주장삼각주 지역과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 창장삼각주 지역에 집중해 있으며, 선전 지역만 해도 의치 가공기업이 100여 개에 이름.
- 주요 의치 생산업체는 Modern Dental Lab(现代牙科), Bairui dental(拜瑞), Jiahong dental lab(家鸿), ktjdental(康泰健), mecodent(美冠达)등이 있음.
- 가공생산 면에 있어 중국 현지의 의치 가공공장은 브릿지 의치 제작을 주로 하고, 가철성 의치 가공을 부차적인 업무로 함.

ㅇ 임플란트의 인공치근의 경우 높은 수입 의존도를 보임.

- 비용이 비교적 높아도 지속 성장세를 보이는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인공치근(dental Fixture)은 핵심 부품이자 비용에 큰 비중을 차지함.
- 중국 임플란트시장에 해외 브랜드 인공치근이 90%를 차지하며 절대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임. 해외 브랜드 인공치근은 스위스 Straumann, 스웨덴 Noble Biocare, 미국 Dentsply Friadent, 미국 Biomet3i, 한국 Osstem, 한국 dentium  등이 있음.

□ 의치 수요 증가에 따른 의치(가철성 틀니) 케어시장

ㅇ 중국 틀니 착용자 다수가 잘못된 의치 관리법으로 치아 질병을 겪는 것으로 나타남.

- 현지 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1억6000만 명 이상의 노인 가운데 65~74세 연령의 경우 각종 이유로 치아 10개 이상이 빠진 경우가 50%에 달하며, 74세 이상 노인의 26%가 치아를 모두 잃은 것으로 나타남. 노인의 43.7%가 가철성 틀니를 착용하고 있음.

- 중국 소비자는 의치 관리법에 대한 의식이 거의 없어 보통 칫솔과 치약으로만 닦고, 심지어 알코올에 의치를 담그거나 끓는 물에 이를 삶아 틀니가 파손되거나 변형된 경우가 많음. 이렇게 잘못된 관리법으로 치주병, 구강궤양 등 구강 질환을 초래한 사례도 종종 볼 수 있음.

- 국민들에게 의치 관리법을 교육시키기 위해 2018년 8월 27일 국가위생건강위윈회는 China Oral Health Foundation에서 첫 '의치사랑주간(关爱义齿周)' 행사를 주최하며 '의치관리 행동방안'을 발표함. 앞으로도 매년 8월 이 행사를 진행해 의치관리 교육 보급 확대를 추진할 계획임.

ㅇ 의치시장 확대 속에 틀니케어시장도 덩달아 성장세를 보임.

- 올바른 의치 관리법의 중요성에 대한 의식 제고에 따라 틀니케어시장이 큰 잠재력을 보이고 있으며 성장세가 빠름.

- 중국에서 틀니케어시장은 비교적 늦게 발전해 시장 내에 관련 브랜드가 적은 편임. POLIDENT, Y-kelin 등이 주요 브랜드며 그중 Y-kelin는 중국 최초 틀니케어 브랜드임.

□ 의료기기 관련 제도

ㅇ 의료기기 등급분류

- 2017년 5월 4일 국무원에서 발표한 <의료기기감독관리조례(医疗器械监督管理条例)>에서는 의료기기의 위험도를 등급분류 기본원칙으로 제시하며, 국무원 식품의약품감독관리부서 <의료기기 등급리스트(医疗器械分类目录)(2017년)>에 따르면 의치 및 의치 부품, 또는 의치케어 제품은 대부분 2등급 혹은 3등급 의료기기에 해당함.

 - 중국 내 의치의 유통, 판매를 위해서는 의치 제품이 어느 등급에 해당하는 의료기기인지 먼저 파악해야 함. 의료기기 등급에 따라 현지 유통을 위한 행정 절차가 다르기 때문임.

ㅇ 의료기기 경영 관련 사항

- 의료기기 경영기업은 <의료기기감독관리조례>에 제시된 규정에 따라 제품의 품질, 생산, 경영 관리를 해야 함.
- 2등급 의료기기 경영기업은 기업 소재지의 시(市)급 식품의약품감독관리부서에 등록(备案)하고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함.
- 3등급 의료기기 경영기업은 기업 소재지의 시(市)급 식품의약품감독관리부에 경영허가신청자료를 제출해 의료기기 경영허가증을 발급받아야 함.

ㅇ 의료기기의 수입신청 관련 사항

- 1등급 의료기기는 중국 내 설립된 대표기관 또는 기업을 대리인으로 선정해 국무원 식품의약품감독관리부서에 제품 등록(备案) 서류와 등록 신청인의 소재국(地域)에서 발급된 의료기기 판매허가증을 제출해야 함.
- 2, 3등급 의료기기는 중국 내 설립된 대표기관 또는 지정된 기업을 대리인으로 선정해 국무원 식품의약품감독관리부서에 제품 인증(注册)신청 서류와 신청인의 소재국(지역)에어 발급된 의료기기 판매허가증을 제출해 의료기기인증서(医疗器械注册证)를 발급 받아야 함. 또한 의료기기 인증서는 유효기간이 5년이며 만료 6개월 전에 연장등록 신청해야 함.

□ 치과 병원 관계자 인터뷰

ㅇ 중국 의치 수요 현황은? 노령화에 따라 전체적으로 틀니 수요가 확대됨. 그 외에도 미용, 건강 등 요인으로 치아 관리를 하러 오는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부분 틀니시장 수요도 증가함.

ㅇ 치과에서 주로 취급하는 의치 제품은 어떤 브랜드가 있는지? 제품 종류별로 살펴봐야 함. 맞춤형 의치(가철성, 브릿지 등 포함)인 경우 의치 소재인 조제가루(Ceramic Power)는 주로 일본, 독일에서 수입함. 임플란트의 경우 비용이 높아도 소비자들은 수입 제품을 선호함. 주요 브랜드는 스웨덴 Noble Biocare, 미국 Dentsply Friadent 등이 있음. 한국 브랜드는 가성비와 신뢰도가 높아 선호도가 높음. 약 3분의 1정도가 한국 브랜드로 생각되며 대표적으로 Dentium, Osstem 등 브랜드를 취급함.

□ 시사점

ㅇ 중국의 의치시장 성장세 유지되며 의치 부품 수입은 더욱 증가할 전망임.

 - 중국 내 치과 병원 설립 증가, 보건 서비스 개선 등 중국 정부의 국민 건강 증진 계획에 따라 의치시장은 향후에도 계속 성장할 전망임.
- 중국 노인 인구 비중이 확대되면서 만성 질병, 의치 등 관련 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양로 서비스시장의 확대를 주목할 필요가 있음.

ㅇ 의치의 경우 체내에서 오래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비싸더라도 품질이 좋은 수입품 사용을 선호함.

- 한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며, 임플란트 등 한국 제품의 인지도가 비교적 높아 향후 고급 수입 의치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은 분야임.
- 의치의 경우 아직까지는 의사의 권유에 따라 제품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치과 전문 학술대회 또는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의사 대상 마케팅 활동을 하는 것이 필요함.

ㅇ 틀니 세정제 등 틀니케어 제품의 사용자 다수는 60세 이상의 노인이나,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제품 50%는 의치 착용자의 자녀가 구입함. 따라서 자녀층을 대상으로 하는 웨이보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어버이날 등을 활용해 홍보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바이두, KITA, 智研咨询《2019-2025年中国假牙(义齿)行业发展格局及未来投资前景预测报告》, 梅斯医学(MedSci), 东方证券《中国牙科-快速成长的蓝海市场》, 国务院《医疗器械监督管理条例》, KOTRA 광저우 무역관 자료 종합
작성자: 김우정 중국 광저우무역관

△ 원문 보러 가기 : 뉴스 → 산업·상품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