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2위 인구대국, 연평균 8.5% 성장률의 큰 시장 잠재력

[코트라 해외시장정보_2015.04.24]

에티오피아 의약품산업 진출을 위한 팁
- 아프리카 2위 인구대국, 연평균 8.5% 성장률의 큰 시장 잠재력 -
- 과도한 규제, 관료주의, 외화부족 인한 송금 지연 등 현지 특수상황 이해 필요 –

□ 에티오피아 의약품 산업 현황
에티오피아는 인구 9600만 명의 전 세계 13번째, 아프리카에서 2번째 인구대국인 동시에 1인당 GDP가 548달러(IMF 2014)로 세계 최빈국으로 분류된다.

2000년 중반 이후 연 평균 8.5%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고 안정적인 성장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에티오피아 의약품산업도 연평균 10% 이상 고속 성장 중이다.

현지 의료 제조시설이 매우 적어(2012년 기준 16개) 의약품 및 의료기기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이다. 2013년 기준 전체 의료시장 규모는 약 12억 달러로 파악되며, 시장은 공공부문(연방정부, 지방정부, 공공기관 입찰) 70% 이상, 민간부문(민간회사 수입/유통) 30% 미만으로 구성된다.

주요 입찰 시행청은 보건부 산하 PFSA(Pharmaceuticals Fund and Supply Agent), 각 지방정부 보건부, 공공 대형병원에서 시행 중이다.

에티오피아 Health Post(보건소) 설립 현황(2013/2014)

주: 2006년은 에티오피아력으로 2013년에 해당

자료원: 에티오피아 보건부 연말보고서

□ 에티오피아 의약품 산업 특징
에티오피아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의무적으로 규제기관 FMHACA(Food, Medicine and 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Control Authority)에 제품 등록이 필수다. FMAHCA 제품등록 절차가 까다로워 등록기간만 1년 넘게 소요(WHO PQ 제품 제외)된다.

의약품의 경우 CGMP, 미국 FDA, WHO PQ(Prequalification) 승인이 있어야 등록 시 공장실사가 면제된다. 승인이 없을 시에는 서류검토 후 공장실사를 받아야 하는데, 공장실사 일정이 밀려 있어 소요 기간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현지 수입상이 GMP, FDA 승인 없는 회사 거래를 꺼려하는 주요 이유이다.

따라서 에티오피아 시장 진출 시 현지 파트너(수입업체)를 통한 제품 수출이 최선책으로 판단된다. FMHACA에서 제품 등록 단계부터 Local Distributor 정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정부 규정 상, 현지 기업이 외국 Supplier와 직접 거래 시 여신 결제조건이 (5000달러 미만 T/T Advance 가능, 5000달러 이상 L/C at sight or CAD만 가능) 매우 까다로운 편이다. 

정부의 만성적인 외환부족으로 현지 수입상이 L/C 개설하는 데에만 3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에티오피아 보건 지출예산(1인당)

자료원: 에티오피아 보건부 연말보고서

 

□ 한국 의료기업 에티오피아 진출현황
NGO 한국 병원 1개(명성병원)와 연락사무소 1개, Assembling 제조업체 1개가 진출했으며, Fully manufacturing Pharmaceutical Factory 투자는 없는 상황이다.

□ 에티오피아 의료 제조업 투자 기회
외국법인의 경우 현지 투자법상 의료 제조업만 허용하고 있고, 의약품 수입/유통업은 불허상태다. 제조공장·설비투자로 진출할 경우 100% 직접투자 및 현지업체와 합작투자(JV; Joint Venture)가 가능하다. 최소 투자금액은 직접투자 시 20만 달러,  합자투자 시 15만 달러이다.

유리한 제조업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데, 총 사업비의 70%까지 현지 산업은행 통해 대출이 가능하다. 또한, 제조 설비, 차량 등 자본재에 대한 면세 혜택이 있고 원부자재 관세가 낮다. 뿐만아니라 5년 면세 혜택과 함께 저럼한 제조업 공장 부지(99년 장기 Lease 제공), PFSA 등 정부 입찰 시 수입제품 대비 25% 가격 Advantage 제공 등의 혜택이 있다.

에티오피아의 의약품산업은 공급자 위주의 시장이다. 제품 등록이 어렵고, 외화 부족 등으로 제품수입이 원활하지 않아, 항상 필수 의약품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기본 의약품과 의료기기를 현지에서 생산할 경우 그 수요가 매우 높다.
 
□ 시사점
정부에서 전략적으로 육성 중인 제품군(저가 기본 의약품)과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제품(수액 등)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현지에서 영향력 있는 기업과 합작투자를 통해 진출해야 한다. 복잡하고, 관료주의적 현지 행정 및 대정부 업무대행이 가능해 후진국형 정치적 리스크가 상쇄되는 효과가 있다. 정부 입찰사업 및 현지 민간시장 진출 시 외국계 기업이란 부정적 이미지 역시 상쇄시킬 수 있다.
 
제조공장 설립 시, 저렴한 노동력을 활용한 반자동/수동 공정설비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일자리 창출이 국가 중요 시책으로 꼽히고 있어 현지 인력을 많이 고용할 경우 혜택이 많아진다. 최빈국으로 원조자금에 의지하는 시장 특성을 고려해 박리다매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자료원: PFSA 자료, EIA(Ethiopia Investment Agency) 자료, 현지 전문가 인터뷰, 인터넷 조사 등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작성자] 윤태웅(아디스아바바무역관)

►코트라 해외시장정보 바로가기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