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적절한 에이전트, 수입업체, 유통업체 선정이 바람직

[KOTRA_해외시장동향_2018.8.19]

이집트 치과용 엑스레이 시장동향

- 자국 내 생산이 없어 전량을 수입, 이탈리아∙독일∙미국 제품 점유율 80% 달해
- 비교적 가격 저렴하고 품질 좋은 한국 제품 선호 이유 충분하나, 제품 등록에 애로

□ 품목명 및 HS Code

ㅇ 품목명: 치과용 엑스레이(방사선 촬영, 치료 목적을 포함)
- HS Code: 902213

□ 시장현황 

ㅇ 시장규모

- 치과용 엑스레이는 이집트 현지 생산이 없어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며, 시장규모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 미비로 수입규모로 추정가능함.
- 2017년 이집트의 치과용 엑스레이 시장규모는 약 441만 달러를 기록함. 2014년 230만 달러를 기록 후 3년 만에 대략 2배 가량 성장

ㅇ 시장동향

- 국민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의식이 성장하면서 치과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
- 아랍 국가들 중 가장 빠른 인구증가율을 보이며 인구증가에 따른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 기대됨.
- 2017년 10일 이집트 의회는 저소득층도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국가 건강보험 체계를 확립할 것임을 법제화 했으며 정부 주도로 병원을 설립할 계획에 있음.
- 단 음식을 즐기는 현지 식습관으로 인해 치과 치료에 대한 수요가 상시 높음.

□ 수입현황                                                       

ㅇ (최근4년간 수입규모) 2017년 이집트의 치과용 엑스레이 수입규모는 약 441만 달러 기록

ㅇ(상위 10개국 수입동향) 2017년 이집트의 치과용 엑스레이 주요 수입대상국은 이탈리아, 미국, 독일, 한국, 일본, 중국, 핀란드 등임.
- 수입 상위 3개국(이탈리아, 미국, 독일) 제품의 점유율이 약 80%에 달함.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2017년 이집트는 한국으로부터 31만 달러의 치과용 엑스레이를 수입했으며 수입국 중 수입액으로는 4위를 차지함.
- 2011년 발생한 이집트 혁명의 여파로 수입이 주춤했으나 상황이 안정된 이후 점차 증가함.

ㅇ 바이어 인터뷰로 보는 주요 수입국별 제품 선호 및 수입 사유

□ 경쟁현황

ㅇ 이집트 시장에 유통되는 경쟁기업 현황은 아래와 같음.

- 이외 시장의 45%를 점유하고 있는 기타 브랜드로는 Nissin(일본), MyRay(이탈리아), SMAM(이탈리아), Planmeca(핀란드), CAWO(독일), MAVIG(독일) 등이 있음.

- 품질은 가격과 함께 이집트 시장점유에 주요한 경쟁 요소

- 치과용 의료기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해온 현지업체 General Egyptian Trading에 따르면 각국 제품 간 경쟁이 치열하다고 함.

□ 유통현황

ㅇ (유통구조) 치과용 엑스레이의 유통구조는 아래 도표와 같음.

- 대부분 외국 생산업체들은 현지 에이전트를 지정해 제품을 유통함. 현지 에이전트와의 파트너십은 현지 공개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필요조건임. 에이전트 선정 시 이집트 시장에서 인지도가 있고 전략적 거점에 물류창고가 있는 업체를 선정해야 함.
- 이집트 보건부는 제품을 구매할 때 입찰 방식을 많이 활용하는데 이럴 경우 가격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
- 제품 유통 권한을 받은 에이전트/수입업자/유통업자는 보통 제품을 구매하는 의료진들과 직접 접촉해 제품 홍보를 함.

ㅇ 대다수의 현지 에이전트는 카이로에 근거지를 두고 있으며 유통분야갸 꽤 분산돼 지역 및 품목별 커버하는 에이전트가 각기 다르며 현지 에이전트는 지역별, 품목별로 각각 다른 에이전트를 또다시 지정해 관리함.
- 미국의 다국적 제약회사인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은 1998년부터 카이로 지역에서 직접 영업을 해왔지만 다른 지역들에도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지역별로 다른 에이전트들과도 거래하고 있음.

ㅇ 이집트에는 여러 지점을 가진 체인 병원과 의료원이 있는데 이들을 겨냥한 영업 활동이 필요함. Nile Scan & Labs는 카이로에 6곳의 지점을 두고 있는데 2000년에 미국 의료기기회사 GE와 업무협약을 한 이후 이집트 최초로 최신형 유방조영술 장비를 들여온 바 있음. 이러한 협약이 이어져 현재 GE의 1만4400여 제품들이 이집트에서 사용되고 있음.

ㅇ 외국 수출업자는 현지의 단순 수입업자보다는 직접 유통을 하는 업체들과 거래하는 것이 바람직함. 유통업체는 이집트 보건부 산하 중앙의약관리청(CAPA)가 요구하는 의료제품 판매에 필요한 절차를 지원하기도 함.

ㅇ 주요 에이전트

□ 수입 정보

ㅇ 관세율

- 일반관세율: 5%(VAT는 14%)
- 한국산 제품 관세율: 5%(VAT는 14%)
- 최대 수입국(이탈리아, 독일 등, EU FTA 체결국): 0%(VAT는 14%)

ㅇ 수입규제 : 의료기기 참조국 제도가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함.

- 이집트는 참조국(Reference Countries) 제도를 운영 중으로 참조국에서 제조된 의료기기의 경우 수출이 용이한 반면 참조국 이외 국가는 의료기기 등록 절차가 상대적으로 어려움. 한국은 참조국가에 포함되지 않음. 
- 해외 참조국가(Reference Countries)은 서구 선진국들을 위주로 22개국이 지정 

ㅇ 인증제도(등록절차)

- 이집트에서 의료기기의 등록 관련 업무는 이집트 보건부 산하의 중앙의약관리청(CAPA; Central Administration for Pharmaceutical Affairs)이 담당
- 이집트는 참조국(Reference Countries) 제도를 운영 중. 참조국에서 제조된 의료기기의 경우 수출이 용이한 반면 참조국 이외 국가는 의료기기 등록절차가 상대적으로 어려움.
- 해외 참조국가(Reference Countries)는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일본,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포르투칼, 아일랜드 등 22개국임.
- 이집트는 유럽의 위해성 분류체계(Directive 93/42/EEC)를 도입해 각각의 의료기기를 ClassⅠ(위해성이 낮은 단계), ClassⅡa/ClassⅡb(중간단계), ClassⅢ(높은 단계)로 분류하고 있으며 위해성에 따라 등록을 위해 필요한 절차를 달리 적용함.
* ClassⅠ분류를 제외한 모든 의료기기는 참조국 중 하나에서 발행된 자유판매증명서(Free Sales Certificate) 및 품질인증(CE 혹은 FDA)이 필요함.
* ClassⅢ에 속한 의료기기의 경우 반드시 기술문서(Technical File) 원본을 추가로 제출해야 함.

ㅇ 등록 절차

ㅇ 등록 서류
- 의료기기 등록에 필요한 서류는 아래와 같음.

① 등록요청서 작성
- 등록요청서에는 의료기기명, 제조업체명 그리고 원산지를 포함한 이집트 수입기업의 서명 혹은 도장이 찍혀야 함.

② 일련번호가 매겨진 등록파일 목차, 의료기기 등록비 EGP3500 지불 영수증
- 파일에는 브랜드명, GMDN 또는 UMDN 코드, 'European Directive of the Medical Devices 93/42/EEC'에 따른 상품 분류, 용도, 제조자 그리고 의료기기의 원자재가 포함돼야 함.

③ 이집트 업체의 수입 허가증(원본 + 복사본), 에이전시의 경우 C14서식과 상업등기부(원본 + 복사본)

④ ISO 13485 인증서

⑤ CE 혹은 FDA가 발급한 CFA 인증서

⑥ 참조국(Reference Country)의 경우 해당 국가 보건부에서 발행한 자유판매증명서(Free Sale Certificate), 참조국이 아닌 경우 이집트가 운영 중인 참조국에서 발행한 자유판매증명서 제출 필요. 이 증명서에는 상표, 의료기기 코드, 공장명이 포함돼야 함.

⑦ 제조업체로부터 발급돼 서명 및 사인된 ‘Declaration of Conformity Certificate’
- 브랜드명과 상품명, European Directive of the Medical Devices 93/42/EEC’에 따른 분류, CE 인증서 번호, 상품코드, 용도, 규격, 조립 세트의 내용물 내역(세트의 경우), 연락처 기재

⑧ 기술사양(Technical File, 서명 및 날인된 제조공장 레터헤드지에 작성)

a. 원자재 부품 증명서(Raw material composition certificate)
b. 분석 증명서(생물학, 화학, 물리학): 지원 방식을 제조 기준에 따랐으며 제조업체에 의한 책임(모든 제조업체 기준이 언급돼 있어야 함)을 확증하는 분석 설명서
c. 멸균증명(Sterilization certificate)
d. 포장재료 증명서와 구성단위 수
e. 생산된 제품의 내/외부 라벨
f. 생산된 제품의 규모와 스케치된 도표
g. 제품, 부품, 내부 전단을 설명하는 카탈로그
h. 사용설명서(IFU, Instructions for Use) 원본
i. 전자 라벨링의 경우 인증된 IFU는 해외 공장으로부터 제공받아야 하며 수입기업은 수입하는 각각의 제품에 IFU를 부착할 것이라는 보증을 해야 함.
j. 의료기기의 보관조건과 기기 상표가 명시된 유통기한 인증서
k. 등록을 원하는 의료기기의 샘플

- 엑스레이 기구를 이집트로 수출하려면 이집트 정부가 정한 방사능 관련 규정들을 충족해야 하며 이에 대한 추가 서류를 요구할 수 있음.
- 이집트 보건부 산하 방사능국(DGR)에서 승인을 받은 후에만 시장에 유통이 가능함.

□ 바이어 인터뷰

ㅇ Middle East Int’l Trading 사장
- 현재 중국 제품들이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 한국 생산업체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품질 좋은 제품을 제공한다면 점유율을 늘릴 수 있을것이라고 함.

ㅇ High Technology 사장 
- 제품의 내구성을 중요시여기는 치과의사들은 보통 품질이 좋기로 잘 알려진 이탈리아, 독일, 미국 제품들을 선호하며 가격을 중요시 여기는 의사들은 중국산 제품을 선호한다고 밝힘.
- 한국 제품들도 유럽 제품만큼 내구성이 좋음을 적극 홍보할 필요 있음.

ㅇ Molar Medical and Dental Equipment 사장
-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제품들 보다도 한국산 제품들의 내구성이 가장 좋다고 생각함.
- 한국산 치과용 의료기기들을 독점적으로 판매하고 싶어하는 이집트 에이전트가 존재함.

ㅇ Medi Sbac Service 사장
- 의료기관들과 치과의사들은 제품의 가격경쟁력을 중요시 여긴다고 함.
- 이집트 정부는 의료기구에 대해 엄격한 관리 정책을 가지고 있어 가격과 함께 그 성능과 안정성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함.
- 한국 제조업체들은 CE 증명서와 유판매증명서(Free Sale Certificate)를 준비해애 제품을 수출할 수 있음.

ㅇ Zedent 사장
- 이집트에서는 다양한 국가들의 제품들이 경쟁하고 있으며 한국 제품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안전성을 강조한 제품들이 다수 유통되고 있다고 함.
- 한국 제품이 선점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품질은 물론이고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경쟁 업체들 보다 전략적 우위를 꾀해야 함.

□ 관련 전시회

□ 시사점

ㅇ 치과용 엑스레이는 이집트의 성장하는 인구수와  국가 건강보험 서비스 개편으로 지속적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이집트 정부는 저소득층도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국가 건강보험을 개편하는 법을 제정함.
- 정부주도의 새로운 병원과 의료기관들을 건립할 계획임.

ㅇ 치과용 엑스레이의 경우, 이집트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업체가 없기에 전량을 수입에 의존함.
- 의료기구 유통 업체들은 대부분의 제품들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음.

ㅇ 한국산 치과용 엑스레이는 대이집트 수출국 4위이며, 제품 경쟁력은 있으나 제품 등록 시 참조국가 리스트에 미포함돼 제품등록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

ㅇ 제품을 수출하기에 앞서, 적절한 에이전트, 수입업체, 유통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과 중앙의약관리청(CAPA)에 제품을 등록해야 함.

ㅇ 이집트에서 의료기구들은 대인직접판매 혹은  직거래를 통해 판매되기에 제품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안내책자, 브로셔, 홍보 서신을 잘 활용해야 함.
- 대인직접판매를 위해 의료분야에 전문 지식이 있는 사람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

ㅇ 유통업체들에 한국제품을 인식시키기 위해 관련 업계의 유망 전시회에 자주 참가해 한국 제품의 인지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
- 매년 카이로에서 개최되는‘Mediconex' 와 'Egymedica'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이집트 통계청(CAPMAS), BMI, 이집트 수출입청(GOEIC), 이집트 세관, GTIS, 관련 업계 바이어 인터뷰, 현지언론기사 등
작성자 : Pakinam Magdy Awad Hassan El Batout 이집트 카이로무역관

△ 원문 보러 가기 : 뉴스 → 산업·상품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