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스마트 의료는 중국의 미래성장 산업 분야,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필요"

[KOTRA_해외시장동향_2018.4.20]

꾸준한 성장, 중국 스마트 의료시장 주목해야

- 탄탄한 시장, 인터넷 IT 기반, 정부 정책 3박자로 꾸준한 성장세 지속
- 성장 속도 비해 콘텐츠(기기·SW)는 제한, 우리 기업 기회 요인

□ 중국 스마트 의료시장 성장 배경  

ㅇ 대건강(大建康)* 시대, 건강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정부의 민생 개선사업과 관련 산업 성장은 스마트 의료산업 발전을 촉진함.
* 시대·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한 의료보건 분야의 사회적 요구를 맞추기 위해 제시된 총체적 이념

ㅇ (시장) 고령화 가속화와 보건의료 분야 인식 변화에 따른 건강중시 풍토 확산
- 2017년 중국 65세 이상은 인구는 전체 인구의 11.4%를 차지, 오는 204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21.8%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 삶의 질 추구에 따른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중국의 건강 제품 및 의료 서비스 관련 지출은 연평균 14.6% 성장률을 보이며 2017년 1조4000억 위안을 달성했으며, 지속 성장할 전망

ㅇ (정책) 2014년부터 중국 차원에서도 '샤오캉 사회(小康社會)*'로 나아가기 위해 국민위생 및 의료 정보화 개혁을 대대적으로 추진하는 등 스마트 의료 분야 발전의 정책기조 수립 및 관련 정책 다수 제시
* 13억 7000만 명의 모든 국민이 중류의 생활수준을 누리는 사회

ㅇ (기술 및 투자) 첨단기술 발전 및 대기업의 시장투자 가속화
- 현재 중국의 의료 정보화 및 IT 시장은 유럽·미국-일본-로컬기업과 3대 경쟁구도를 형성
- 정부의 적극적 민간참여 장려 및 대외개방 정책에 따라, 주요 IT기업인 BAT(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부터 가전 및 반도체 대기업인 징둥팡·하이얼·메이디까지, 각 분야 메이저 기업이 앞 다투어 의료 시장 진출

□ 중국 스마트 의료산업 발전 현황

ㅇ 중국 스마트 의료는 전통 의료산업과 모바일 인터넷이 결합된 O2O 형태의 특수산업으로 병원, 환자 및 제 3자를 포함함.
- 스마트 의료시장의 성장에 맞물려, 스마트폰 하나로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모바일 헬스 케어시장이 가파른 속도로 성장함. 중국 의약물자협회(CMPMA)에 따르면, 현재 모바일 헬스 케어 관련 APP는 2000개를 넘어섰으며, 시장규모는 2017년 125억 위안을 돌파할 것이라고 전망(2013년 대비 5배 이상 성장)
- 또한 스마트 의료의 주축이 되는 인터넷 의료는 병원-의사-환자-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해당 시장은 2009년 2억 위안에 불과했으나 2011~2014년 연평균 120% 이상의 초고속 성장세를 기록하며, 2016년 223억 위안으로 110배 이상 확대됨.
- 중국 정부도 국민경제안전 및 보건 분야와 직접 관련이 있는 만큼 해당 산업에 적극 투자 중이며, 중국 스마트 의료 시장규모는 2022년 256억 위안에 육박할 전망(중국 인터넷 병원 이용자 4억2700만 명, 1인당 평균 60위안 진료비 지불 가정). 또한 스마트 의료 투자규모는 2016년 500억 위안에 달하며, 2020년까지 1000억 위안으로 확대될 전망

ㅇ 급진적 발전에 따라 아직 해결해야하는 문제점도 있음.
- 현재 중국 의료업계의 스마트화, 정보화 수준은 높지 않으며 의료기계, 인공지능 및 인터넷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해결해야 할 과제
- 일부 의료 데이터의 공유가 원활하지 못하며 각종 질병의 병례 및 특징을 포함한 빅데이터 플랫폼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도 난제

ㅇ 톈진시 '스마트 문진( 智慧门诊)' 현장 취재

- 한편, KOTRA 톈진 무역관은 스마트 의료의 기본 단계인 '스마트 문진(智慧门诊)*'의 보급 현황을 알아보고자 대형 3급 병원인 톈진의과대학 부속 톈진시암병원(天津市肿瘤医院)을 방문
* 병원 진찰 전 과정을 온라인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톈진시는 2017년 '스마트 문진 도입 프로젝트(智慧门诊建设项目)'를 출범해 2018년 6월까지 톈진시 3급 병원 전체에 '스마트 문진' 표준을 적용할 예정임.
- KOTRA 톈진 무역관은 병원 관계자와 인터뷰를 통해 '스마트 문진'이 중국 의료부문에서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삼장일단(三長一短)*이 일부 개선됐음을 알 수 있었음.
* 등록 접수시간, 진찰 대기시간, 약품 수령 대기시간은 긴 반면 진료 시간은 짧은 현상)

Q1. 환자들은 셀프 진료서비스기의 어떤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가? 
A2. 이 기기는 약 6개월 전부터 도입됐으며 환자들은 줄을 서지 않고, 기계를 통해 진료 접수, 예약, 병원비 납부 등을 함. 본인의 신분증과 의료보험카드(医保卡)를 스캔해 이용할 수 있으며 병원비 납부 시 카드, 즈푸바오(支付宝), 웨이신(微信) 결제가 가능함. 핸드폰 APP를 사용한다면 언제 어디서든 간편히 병원 행정업무를 볼 수 있음. 향후 검진 후 진찰 기록을 핸드폰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돼 시민들에게 더욱 완성된 의료정보 플랫폼을 제공할 예정임. 

Q2. 기기 도입 전후의 차이는 무엇인가?
A2. 도입 전에는 1시간 넘게 창구에서 번호표를 뽑고 줄을 섰다면, 기기 도입 후 5분 안에 예약 및 수납 과정이 모두 끝나므로 환자가 병원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임. 접수창구 또한 기존 8개에서 6개만 운영하며 점점 그 개수가 줄어 머지않아 접수창구 자체가 없어질 것임. 

□ 중국 스마트 의료 향후 발전 추세

① 인공지능+빅데이터
- 빅데이터는 현재 스마트 의료의 주요 관심사이며, 향후 질병 모니터링, 의사결정 보조, 건강관리 등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임.

② NB-IoT + IoT용 무선통신 칩 = 모바일 의료기기 상용화
- 전통 모바일 의료기기는 Wi-Fi나 블루투스 등의 통신수단을 기반으로 해 독립사용이 불가하고 보안이 취약했음.
- 대규모 사물 인터넷을 연결하는 NB-IoT/eMTC 기술은 전통 통신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고 모바일 의료기술의 표준으로 자리 잡음.
- 운동, 심박수, 수면 등 검측기 위주의 각종 의료 장비의 발전이 빠르며 퀄컴(高通), 화웨이(HWAWEI, 华为)등 반도체 제조사는 NB-IoT 및 eMTC 등 통신기술의 IoT용 무선통신 칩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③ 든든한 정책지지 받는 양로산업도 스마트 의료 성장 확대 기여
- 중국은 2013년 양로산업 발전지지 정책을 시작으로 2015년부터 노인부양 산업 육성 및 지원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향후 정책은 스마트 양로 산업으로 그 범위를 넓혀 수 조원 상당의 실버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보임.

□ 중국 스마트 의료시장 제품 및 S/W

ㅇ 스마트 의료 관련 제품
- 2013년부터 시작한 의료 건강 분야 스마트 기기의 발전은 미국에 이은 세계 2위 의료기기 시장을 목표로 발전 중
- 중국 스마트 의료건강 제품은 핸드폰 APP와 연동해 개인의 건강관리를 돕는 모바일 헬스 케어 상품이 주를 이루며 이 중에서도 일반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제품은 스마트 혈당기, 혈압기 등 가정에서 손쉽게 쓸 수 있는 제품임.

ㅇ 스마트 의료 관련 S/W
- APP를 통해 모바일 예약 접수·결제·온라인 건강상담·약품 배송 등 진료의 전 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원스톱 진료서비스가 주요 모델임. 특히 온라인 건강상담은 소아과, 산부인과와 같은 상담 수요가 많은 분야에서 호평
- 중국은 2013년부터 원격의료 정책을 본격적으로 펼치고 있음. 최근 중국 국가위생계획생육위원회가 의료기관의 원격진료서비스 촉진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등 원격진료가 본격적으로 활성화 돼 향후 스마트 의료 APP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

ㅇ 중국 스마트 의료 관련 주요 기업
- 2013년 기업의 스마트 의료 시장진출이 본격화된 이래, 병원, 플랫폼 운영사 및 스마트장비 등 공급자 중심이던 생태계가 약품, 제3자서비스 기관 등으로 확장되고 있음.
- 이에 따라 과거는 주로 진료 전 접수·예약·상담, 진료 후 케어, 일상 건강관리 등 오프라인 중심의 일부 기능만 취급했으나 최근 O2O의료인력 서비스·스마트병원·약품배송·의료관광 등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다양한 영역으로 발전

□ 시사점

ㅇ 중국 스마트 의료시장은 꾸준한 성장세 이어질 것
- 중국의 일반적인 의료수준은 경제발전 속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스마트 의료 분야는 BAT로 대표되는 높은 수준의 IT 인프라,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거대한 소비시장 등 3대 요인을 기반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룰 전망

ㅇ 스마트 의료 플랫폼에서 올릴 상품 콘텐츠 적극 공략 필요
- 스마트 의료 생태계는 다양한 상품(기기, SW)을 수요하나 중국의 자체 콘텐츠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으로 우리 기업들의 창의력과 기술력을 갖춘 상품콘텐츠 적극 공략 필요
- 특히 세밀하고 꼼꼼한 콘텐츠를 요하는 유아, 여성, 양로 등 3대 분야는 콘텐츠, 기술력, 디자인 등 우리기업들이 상대적 경쟁력이 뚜렷한 분야

ㅇ 중국 정부 관련 정책 및 주요 기업 전략과 연계한 진출 전략 수립 필요
- 스마트 의료는 중국 정부가 민생개선과 함께 미래성장 산업으로 주시하고 있는 분야이며, 산업 특성상 주요 선도 기업이 시장 시스템을 주도 할 것인 바, 중국 정부의 세부 정책과 해당기업들의 시장 진출 전략을 모니터링해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필요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바이두, iResearch, 중국 의약물자협회(CMPMA),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 원문 보러 가기 : 뉴스 → 산업·상품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