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전략 12대 중점과제를 강화해 457억 원 투입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등 관계 부처 합동으로 ‘2018년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신규 수요 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 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 등을 위해 지난해 보다 11% 증가한 457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2017년 3D 프린팅 산업실태조사(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8년 1월)에 의하면 국내 시장 규모는 2016년(2,971억 원)보다 16.8% 증가한 3,469억 원이며, 기업 수는 19.4% 증가(253개→302개)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루었다.

이번 시행계획은 이러한 성장세를 지속 높여나가기 위해 ‘3D 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2016년 12월)’의 4대 전략 12대 중점과제를 강화한 2차년도 추진내용이다.

첫째, 3D 프린팅 산업의 신규 시장 수요 창출을 위해 철도·재난안전 등 공공부문 단종·조달 애로부품(2종)과 산업부품(자동차·전자 등 5종), 생활밀착형 제품(가구 등 2종)을 시범 제작하고, 병원 수요를 받아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를 3D프린팅으로 제작 지원하는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및 의료기기 인증을 실시한다.

둘째, 3D 프린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장 수요가 많고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인 의료․바이오분야 핵심 SW개발과 4D융합소재, 적층제조디자인(DfAM) 기술 및 지능형 소재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조선, 자동차, 기계, 의료, 건설 등 주력산업 고도화를 위한 3D 프린팅 장비·소재 개발을 지원한다. 

아울러, 3D 프린팅 스캐닝 분야의 표준 항목을 발굴하여 국제 표준을 추진하고, 적층 가공기술의 데이터 포맷 및 시험방법 관련 용어 등 국제표준 2종을 국가 기술표준(KS)으로 도입한다.

셋째, 3D 프린팅 산업 확산 기반 강화를 위해 3D 프린팅 지역센터(9개) 및 제조혁신지원센터(6개)의 시제품 제작 지원 기반을 확충하고, 문화재 및 생활용품 등 활용 수요가 높은 디자인을 3D 콘텐츠(설계도면)로 구축하여 제공한다.

또한, 중소기업의 3D 프린팅 활용 촉진을 위해 맞춤형 컨설팅, 해외 판로개척 지원, 전문 인력 양성 및 특허관리 교육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올해부터 시행되는 ‘3D 프린터개발 산업기사’ 등 국가 기술자격 제도는 검정기관 선정 등을 통해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간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팅 산업 육성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 장비ㆍ소재 및 출력물에 대한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마련 및 소프트웨어 제품군별 품질평가 모델 개발 등 품질평가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3D 프린팅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보급하고, 3D 프린팅 사업 종사자의 안전교육 편의제공을 위해 집합교육 위주에서 온라인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 등도 추진한다. 

과기부 용홍택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3D 프린팅은 4차 산업혁명을 실현하는 핵심기술로서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의 확산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부처 간 협력을 통해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2018년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 등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과기부 등 관계 기관과 전담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 3D상상포털(www.3dbank.or.kr)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의료기기뉴스라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